목록전기공부와 송전설비 실무 (14)
피토니아의 블로그

초고압 케이블의 절연층은 케이블 특성을 좌우하는 핵심 부분이다. 절연층은 사용전압과 케이블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1. 초고압 케이블 절연체 종류는? 케이블 절연체의 종류는 크게 XLPE(가교폴리에틸렌)와 OF(절연유)가 있다. 요즘 산업현장에서는 XLPE Cable이 주로 사용된다. XL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에(Low Density Polyethylene)에 가교제를 첨가한 후 가교 공정을 거쳐 폴리에틸렌(PE)의 분자 간의 입체 망상 분자로 만든 고분자 재료다. 기존 PE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였고, 가교제를 통해 열적으로 우수한 특성도 확보하고 있다. 2. OF케이블 보다 XLPE케이블을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OF케이블은 절연유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절연을 확보하지만 ..

초고압 케이블 접속점에는 절연통보호장치 또는 방식층 보호장치가 설치된다. 각 보호장치는 통칭 Sheath Voltage Limitor(SVL)로 불린다. 중간접속함은 절연접속함(IJ)과 보통접속함(NJ)으로 나뉜다. 절연접속함의 절연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절연통 보호장치다. 접속함의 방식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방식층 보호장치다. 각 보호장치는 왜 필요할까? 뇌 서지, 개페서지 등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SVL은 일종의 수변전설비에 설치되는 피뢰기(LA)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언제 작동할까? 절연통보호장치는 평소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과도한 개폐 서지, 뇌 등으로 접속점에 과전류가 흐르면 절연통 보호장치가 작동한다. 왜 보호장치를 접속점에 설치할까? 사람이 다쳤을 때..

건설공사를 하다 보면 도로 위에서 작업해야 할 때가 많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히 도로점용 대관업무를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처음 도로점용 대관업무를 하려고 하면 어떤 서류를 갖고, 어디로 가야 할지 막막하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 없다. 굴착 작업을 수반하지 않는 단순 도로점용 신청 및 허가는 그 절차가 생각보다 매우 간단하다. 1. 도로점용에 필요한 관련 서류를 작성한다. 1) 도로점용 신청서 1장 2) 도로점용 위치도 1장: 도면이 없으면 네이버 지도 캡처해서 작업 구역을 표시한다. 3) 도로점용 목적 1장: 공사개요, 작업 인원, 도로점용 일자 등을 간략히 한 장에 표시한다. (관청 담당자가 공사 내용 파악할 수 있도록) 4) 도로점용 안전대책 1장: 도로 상에 유도원 및 라바콘, 안전표지..

경기전기교육원에서 전기 기능교육을 받을 때가 있었다.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전액 무료로 6개월 동안 숙식하며 교육을 받았고 출석률을 일정치 이상 채웠을 시 20만 원인가 30만 원의 용돈도 받았었다. 식당 아주머니가 은근히 생각난다. 후덕하시고 정이 있으신 분이었다. 밥도 잘하셔서 매끼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난다. 난생 처음 전주(전봇대)위에 올라가서 전선을 당길 땐 다리가 후들거렸다. 우리가 쓰는 전기는 발전소에서부터 R상, S상, T상 3상이 들어온다. 전주 위에 전선이 3개인 이유도 그 때문이다. 각 전선 하나가 하나의 상을 차지한다. 상이 붙으면 단락사고라고 하며 아크가 발생하고 정전이 된다. 그래서 활선(살아있는 선)은 늘 조심해야 하며 이격거리를 둬야 한다. 위 사진상에 머리가 전선 사이 가운데..

두꺼운 초고압케이블을 관로 내에 설치하기 위해선 지중풀라라는 장치가 필요하다. #A 맨홀에 케이블드럼을 셋팅하면 반대편에 있는 #B 맨홀에 지중풀라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A → #B 방향으로 당기는 것이다. 전기밥을 오랫동안 먹은 사람도 실제로 보지 않고는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땅 속에 지름 130mm 정도나 되는 케이블(외경은 케이블 스펙마다 다르다)이 깔려 있다는 생각도 하기 어렵고, 그게 맨홀 접속점마다 접속되어 있단 생각도 하기 어렵다. 가공송전선은 철탑이 워낙 눈에 잘 띄어서 한 눈에 보이지만, 지중송전선은 대부분 사람이 아마 일평생 한번 보기도 어려울 것이다. 케이블을 포설할 때는 포설장력 역시 고려해야 한다. 사전에 포설장력을 계산하여 포설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

전력구, 맨홀 등에 금구류를 설치했다면 다음에 할 일은 케이블 포설이다. (맨홀 같은 경우 관로 도통시험을 먼저 해야 한다.) 케이블 포설을 하기 전에 여러가지 사전 준비사항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적정한 지게차를 선정하는 것이다. 지중 초고압케이블은 345kV 2500SQ 케이블인 경우 m당 40kg 에 육박할 정도로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한 드럼에 10톤 정도는 기본으로 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일반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애용되는 7톤 지게차는 초고압케이블 드럼 양중에 쓸모가 없다. 고작 케이블 드럼을 고정하는 드럼스탠드를 옮기는 정도로 사용되거나 아예 사용 안 할 수도 있다. 보통 25톤 지게차나 18톤 지게차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드럼이 무거운 경우 30톤 지게차까지 사용한다. (보통 30..

fittonia.tistory.com/13 전기공사협회 경력수첩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법~!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작년에 전기공사기사를 취득한 후, 바빠서 미루고 있다가 이제야 전기공사협회에 경력 수첩을 발급신청 하였는데요. 지금부터 온라인으로 경력수첩 발급하는 절fittonia.tistory.com▲전기공사협회 경력수첩 인터넷 발급하는법 참고 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지난 번 전기공사협회에 경력수첩 발급을 신청한 후, 경력사항 추가를 위해 관련 서류를 새로 제출했습니다. 제가 다시 제출한 서류는 '전기공사업무경력확인서' 1부와, '전기공사기술자 참여사업확인서' 1부였는데요. '전기공사업무경력확인서'를 새로 제출한 이유는 처음 경력수첩 발급을 신청할 때 담당업무를 '현장시공'으로만 할 수 있다고 ..

감리와 함께 금구류 입고 검사를 마치면 각 포인트마다 산출된 금구류를 배치한다. 금구류 설치는 크게 전력구 아니면 맨홀에 설치한다. "금구류 설치는 한전 품질기준에 맞게 시공" 금구류는 도면에 의거해서 설치하지만, 설계가 현장을 제대로 모르고 대충 그린 경우, (대충 그려도 사실상 지중송전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이게 맞는지 틀린지 구별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 현장 관리자와 작업팀장이 그간 경력으로 쌓인 지식과 관련 품질자료를 바탕으로 이것저것 도면상 문제점을 지적하며 도면 수정을 요청한다. 서포트 간격은 1.5m 이내, 154kV 케이블 행거 간격은 400mm 등 한전에서 정한 각 공정별 품질 기준에 맞게 시공을 해야 한다. 도면 말고도 현장에서 시공을 하자면 여러가지 변수가 발생한다.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