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연준 (4)
피토니아의 블로그

미국 금리가 5.5%까지 찍었다. 그리고 5%에서 지금은 4.5%다.금리인상 지속됨에 따라 달러 물량은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다. 시장 안정에 긍정적이다. 하지만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트럼프발 관세전쟁, 가자지구 전쟁, 테러로 인한 수에즈운하 물동량 감소 같은 블랙스완이 앞으로 또 나오지 말란 법은 없다. 인덱스 펀드의 창시자이자 전설적인 투자자 존 보글의 조언을 기억하자.1. 시장에 남아 있어야 한다.2. 모든 이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평균에 수렴하기에 단기 변동에 흔들리지 마라.3. 미국 전체 주식을 소유하라.4. 인덱스펀드 65%, 채권 35%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라. 시장에 남아있어야 하지만 개별 주식에 투자했을 경우 적당히 먹고 파는 게 좋은 거 같다. 왜냐하면 아무도 시장을 ..

달러의 무제한 발행, 인플레이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헷지 수단으로써 암호화폐를 고려한다. 암호화폐 시장은 아직 미성숙한 초기 시장이지만, 수많은 코인 중 음모론의 중심에 있기도 한 리플(Ripple)이란 코인은 유명세가 엄청나다. 한때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이 코인계 3 대장이란 말이 있었다. 하지만 SEC의 소송 이후로 리플의 가격은 수년 째 제자리걸음을 하며 투자자의 마음을 애태우고 있다. 리플사와 SEC와의 소송은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다. 리플 투자자로서 나 역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바, 리플의 현 주요 이슈를 정리해보았다. 1) 2022년 4월 12일 SEC의 심의과정특권 요청 기각 판결. 지난 4월 12일(현지시간) 리플랩스와 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 담당 치안판산..

러시아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값이 폭등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제유가를 비롯한 주요 원자재 가격이 수급 불안 우려로 급등하면서 우리나라 경제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6일(현지시각) 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139.13달러까지 치솟았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도 장중 130.50달러까지 올랐다. 미국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를 검토한다는 소식과 이란 핵 협상 타결이 지연된다는 소식이 유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3월 첫째 주 광물종합지수는 3747.74로, 전주(3,306.86)와 비교해 13.3% 상승했다. 세계 언론과 시민의 바람과 달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절대 놓치지 않을 것..

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주가 흐름을 예측할 때 연준의 의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재무제표가 어떻고, 미래 산업이 어쩌고는 2차적인 문제로 봅니다. 현 연준의장인 파월의 코멘트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이 미국 정치권의 경제정책, 재무부의 경제를 보는 시선입니다. 주가를 결정짓는 가장 큰 변수는 결국 '금리정책'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세계의 기축통화이고 한국 증시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은 미국을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동의 안 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어찌됐든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근 금리정책에 큰 변동은 없었는데 국내외 주가 흐름이 힘을 못쓰고 하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1월 주자 조정이 온 것 같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1)바이든의 재정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