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기공사기사 (4)
피토니아의 블로그
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전기 업계는 발전, 배전, 송전, 변전 등 종류가 다양한데요. 전기기사 공부를 하다보면 주로 발전기, 변압기 등의 이론 위주로 공부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중송전이란 분야가 있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저는 우리나라 전력 인프라에서 초고압케이블로 이루어진 송전선로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전기공부 하면서 지중송전에 관련한 자료는 참 찾기 어렵다고요. 그래서 제가 현업에서 배우며 익힌 걸 조금씩이나마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케이블을 제작하는 주요 업체는 대한전선, LS전선, 일전전기 3사 정도인데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큰 전압으로 변압한 후, 수용가 근처 변전소까지 '송전'하는 '전기의 길'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산 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가공..
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전기(공사)기사 공부는 다른 자격 시험보다 어렵기로 유명한데요. 그래서 처음에 공부를 시작하기전 망설이는 분이 많다고 합니다. 실제로 필기 및 실기 합격률 모두 만만치 않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은행식으로 반복 출제되는 유형의 문제가 많으니 기출문제를 충분히 푸신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가 기다리고 있을 겁니다. 2019년도까지 큐넷에서 발표한 전기(공사)기사 필기 및 실기 합격률을 공유드리오니 시험 준비하시는데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모두 열공하세요~ www.q-net.or.kr/crf012.do?id=crf012031&jmCd=1150&grdCd=30&gSite=Q&gId= (큐넷 종목별 자격시험 현황 참조 링크)
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전기(공사)기사 시험 신청 자격요건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강조드리는 것은 꼭 '전기 전공자'자가 아니어도 전기(공사)기사 시험에 바로 응시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큐넷에서 명시한 전기(공사)기사 시험 응시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www.q-net.or.kr/crf006.do?id=crf00603&gSite=Q&gId=큐넷참조 링크) 전기(공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테크트리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관련학과 졸업 2. 전기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관련 업계 경력 3년 이상 저는 당연히 관련학과는 '전기'란 글자가 들어간 '전기공학과', '전기전자 어쩌구'하는 학과만을 생각했습니다. 이 당연스런(?) 저의 논리구조 때문에 제 전기경력 테크트리가 꼬여버렸습..
안녕하세요. 피토니아입니다. 2021년 전기(공사)기사 시험 일정표를 공유드립니다. 미리 달력에 체크해두셨다가 바로 신청하시어 원하는 학교(지역)에서 시험 보실 수 있길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고용노동부 사이트 공지사항에 업로드 되어 있는 '2021년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행계획.pdf' 자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ww.moel.go.kr/news/notice/noticeView.do?bbs_seq=20201101455(고용노동부 사이트 링크)